1. Splash Screen(스플래시 스크린)

스플래시 스크린은 모바일 앱을 접속할 때 로딩 되는 시간 동안 표시되는 화면
일반적으로 로고이미지, 애니메이션을 사용함.

2. Status Bar(상태바)

기기의 최상단에 위치하며 현재 상태 및 시스템의 정보를 제공함

3. Navigation Bar

네비게이션 바는 뷰 사이의 이동을 도우며 컨텐츠를 조작하는 역할을 함

4. Tab Menu

탭을 했을 때 화면이 전환되는 인터페이스

5. Swipe View

상세페이지 간 이동을 할 때 Tab을 터치하는 방법도 있지만 옆으로넘기는 Swipe 동작을 통해서도 이동 할 수 있음

6. Tab Bar

하단 네비게이션바라고 불리며 UI에서 가장 많이 이용되는 구성요소
탭을 통해 뷰 사이를 빠르게 전환할 수 있고 현재 자신이 머물고 있는 위치도 알려줌

7. Progress Indicator(프로그래스 인디케이터)

컨텐츠가 로딩되고 있음을 시각적으로 알리는 컨트롤
로딩 화면 정도라고 생각하면 쉽게 이해할 수 있음

8. Drawer(슬라이딩 메뉴, 사이드 바)

평상시 닫혔다가 당길때 열리는 서랍과 같아서 Drawer라고 불림
일반적으로 앱의 최상위 메뉴를 표시하며 여러 기능을 모아서 볼 수 있는 공간

9. Light BOX

팝업과 동시에 뜨는 백그라운드 화면이 라이트 박스
라이트 박스 처리된 영역은 컨트롤 할 수 없고 사용자가 팝업상자에 집중할 수 있는 시각적 효과를 제공
배경을 어둡게 처리하는 것은 'Dimmed(딤드)'라고함

10. 프로그래스 인디케이터(Progress Indicator)

시간이 걸리는 작업에서의 진행상황을 보여줄 때 사용
프로그래스바, 진행바, 상태바 라고도 함

11. 토스트 팝업

주로 모니터 우측 하단에서 몇초간 나타났다가 사라지는 팝업 메시지를 말함

직접 1개의 어플을 사용하면서 설명을 같이 보면 이해가 쉬울듯하다.

다각형

다각형은 삼각형이 기본 도형이다.

눌러서 도형을 만들면


저렇게 count point가 나오는데 드래그하여

꼭짓점을 늘리거나 줄일 수 있다.

삼각형 여백 없이 사용하는 방법

삼각형을 만들면 기본으로 하단 공간과 옆에 공간이 생기게 된다.

삼각형을 클릭 후

Flatten 을 클릭하면

여백 없이 사용 할 수 있다.

원 변형하기

원을 만들면 기본적으로 Arc라는 점이 생긴다.

점을 드래그 하게 되면

sweep 하면 아크 형태의 도형을 만들 수 있음

가운데 점을 드래그하면

도넛 모양도 만들 수 있다.



'DESIGN > FIGMA'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피그마 컴포넌트 취소, 해제 방법  (0) 2025.01.22
💡
컴포넌트(부모)를 복사하면
인스턴스(자식)가 만들어진다.

 

인스턴스(Instance)를 만들어서 마스터 컴포넌트(Component)의 연결을 해제하는 방법 뿐.

Instance를 클릭한 상태에서 우클릭하면 다음과 같이 박스가 뜬다.

 

Detach instance 를 눌러 Master Component와 연결을 해제한다.

💡정리
1. 마스터 컴포넌트를 복사하여 인스턴스를 만든다
2. 해당 인스턴스를 우클릭하여 detach instance를 일반 frame으로 변경한다
3. asset에서 해당 컴포넌트 제거(컴포넌트 선택 후 delete)

 

'DESIGN > FIGMA'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피그마 도형 관련 기능 정리  (0) 2025.01.22

+ Recent posts